[AR-25-006]한국과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 현황 분석 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본 보고서는 2025년 02월 06일 진행된 [AW-028-정기]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 1. 데이터 선정 및 작성 기준
- 2. 국가별 가상자산 규제 현황
- 3. 종합 현황
- 4. 거래소별 현황
- 4-1) 가상자산 거래소 순위
- 4-2) 가상자산 거래소 일일 거래량
- 4-3) 거래지원 가상자산 수
- 4-4) 거래지원 가상자산 평균 평가점수
- 5. 일본 거래지원 가상자산 상세 현황
- 6. 종합 인사이트
1. 데이터 선정 및 작성 기준
- • 본 보고서에서는 APYWA의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선정된 한국 및 일본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를 대상으로 거래지원 가상자산의 현황과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합니다. 상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 거래소 및 가상자산 선정 기준
1) 한국
- - 대상 거래소: APYWA에서 선정한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를 기준으로 합니다.
- - 거래지원 가상자산: 2025년 2월 6일 시행된 "[AW-0028-정기]"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합니다.
2) 일본
- - 일본 가상자산 업계의 자율규제 기관인 JVCEA(Japan Virtual and Crypto assets Exchange Association,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 협회)가 2025년 2월 3일 공개한 공식 거래소 및 거래지원 가상자산 목록을 기본 기준으로 합니다.
- -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및 코인게코(CoinGecko) 등재 데이터를 교차 검증하여 신뢰도 높은 거래소와 가상자산을 선정합니다.
- - OTC(장외거래) 전용 거래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구분 | 분석 대상 거래소 | 비고 |
---|---|---|
한국 |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 5개소 |
일본 | bitFlyer, Coincheck, Zaif, Bitbank, BitTrade, BTCBOX | 6개소 |
가상자산 평가 기준
1) 한국 단독 거래지원 가상자산
- - 2025년 2월 6일 진행된 "[AW-0028-정기]"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2) 한국 & 일본 공통 거래지원 가상자산
- - 2025년 2월 6일 진행된 "[AW-0028-정기]"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3) 일본 단독 거래지원 가상자산
- - 2025년 2월 6일 취합된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APYWA에서 별도 진행한 평가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APYWA의 공시 데이터와 동일한 기준 적용)
2. 국가별 가상자산 규제 현황
국가별 가상자산 규제 현황
1) 한국
- - 한국의 가상자산 규제는 2021년 개정된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VASP)는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 의무를 가집니다. 또한, 2024년 7월부터 시행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의 운영 및 거래지원 절차에 대한 규제가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 -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DAXA(Digital Asset eXchange Alliance,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를 구성하여 자율규제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상자산의 거래지원 및 거래 유지 기준을 정립하고, 유의 종목 지정 및 거래지원 종료에 대한 심사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 그러나, DAXA는 정부의 공식적인 인가를 받은 기구가 아니므로, 거래지원 및 종료에 대한 직접적인 권한을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각 거래소는 DAXA의 기준을 참고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독립적으로 거래지원 및 거래지원 종료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소마다 거래지원 심사 및 유의 종목 지정 정책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2) 일본
- - 일본은 2017년 자금결제법 개정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에 대한 등록제를 도입하였으며, 이후 JVCEA(Japan Virtual and Crypto assets Exchange Association,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 협회) 를 설립하여 자율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 JVCEA는 일본 금융청(FSA)으로부터 자율규제 단체로 공식 승인을 받았으며, 회원사로 등록된 거래소들의 가상자산 거래지원 및 거래지원 종료 절차를 심사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모든 가상자산 거래소는 JVCEA 가입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협회는 이용자 보호, 보안 강화, 자금세탁 방지(AML) 등을 위한 규정을 마련하고, 회원사를 주기적으로 감사 및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 JVCEA의 자율규제는 일본 금융청과 긴밀히 협력하여 이루어지며, 회원사들은 협회의 규정을 따라야만 거래소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는 한국의 DAXA가 법적 권한이 없는 자율협의체인 것과 달리, 일본의 JVCEA는 금융당국의 공식 승인을 받은 강제성이 있는 자율규제 기관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분 | 한국 | 일본 | |
---|---|---|---|
핵심 법률 |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자금결제법 | |
규제 기관 | 금융정보분석원(FIU) | 일본 금융청(FSA) | |
거래소 운영 조건 | 금융정보분석원(FIU) 승인 | 일본 금융청(FSA) 승인 | |
자율규제기구 | 단체명 | DAXA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 JVCEA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 협회) |
법적권한 | 없음 | 규제 강제 적용 (금융청 승인기관) | |
회원사 | 5대 거래소 | 모든 거래소 가입 의무 | |
거래지원 심사 | 각 거래소 독립 심사 | JVCEA가 직접 심사 및 승인 |
3. 종합 현황
각 기준별 비교 현황

- ※ 한국 단독 거래지원: 일본에서는 거래지원을 하지 않고, 한국에서만 거래지원 하는 가상자산
- ※ 일본 단독 거래지원: 한국에서는 거래지원을 하지 않고, 일본에서만 거래지원 하는 가상자산
4. 거래소별 현황
1) 가상자산 거래소 순위
거래소명 | 국가 | 코인마켓캡 순위 | 코인게코 순위 |
---|---|---|---|
업비트 | 한국 ![]() |
5 | 23 |
빗썸 | 한국 ![]() |
19 | 46 |
bitFlyer | 일본 ![]() |
22 | 64 |
Coincheck | 일본 ![]() |
47 | 84 |
Zaif | 일본 ![]() |
53 | 109 |
코인원 | 한국 ![]() |
57 | 116 |
Bitbank | 일본 ![]() |
61 | 66 |
코빗 | 한국 ![]() |
76 | 70 |
BitTrade | 일본 ![]() |
87 | 101 |
고팍스 | 한국 ![]() |
120 | 140 |
BTCBOX | 일본 ![]() |
138 | 106 |
※ 출처 : Coinmarketcap, Coingecko
2) 가상자산 거래소 일일(24H) 거래량

3) 거래지원 가상자산 수

4) 거래지원 가상자산 평균 평가점수

5. 일본 거래지원 가상자산 상세 현황
일본 가상자산 리스트
구분 | 가상자산 이름 | 티커 | 평가점수 | 등급 | 한국 거래지원 여부 | 비고 |
---|---|---|---|---|---|---|
1 | 비트코인 | BTC | 94.62 | A+ | O | - |
2 | 이더리움 | ETH | 93.54 | A+ | O | - |
3 | 리플 | XRP | 91.05 | A+ | O | - |
4 | 톤코인 | TON | 90.42 | A+ | O | - |
5 | 체인링크 | LINK | 89.67 | A | O | - |
6 | 비앤비 | BNB | 89.04 | A | O | - |
7 | 아발란체 | AVAX | 88.98 | A | O | - |
8 | 도지코인 | DOGE | 88.91 | A | O | - |
9 | 솔라나 | SOL | 88.81 | A | O | - |
10 | 앱토스 | APT | 88.62 | A | O | - |
11 | 아비트럼 | ARB | 88.45 | A | O | - |
12 | 수이 | SUI | 87.44 | A | O | - |
13 | 트론 | TRX | 87.26 | A | O | - |
14 | 에이다 | ADA | 86.86 | A | O | - |
15 | 스텔라루멘 | XLM | 86.75 | A | O | - |
16 | 옵티미즘 | OP | 85.95 | A | O | - |
17 | 샌드박스 | SAND | 85.90 | A | O | - |
18 | 폴리곤에코시스템토큰 | POL | 85.76 | A | O | - |
19 | 시바이누 | SHIB | 85.53 | A | O | - |
20 | 이뮤터블엑스 | IMX | 85.36 | A | O | - |
21 | 코스모스 | ATOM | 84.59 | A- | O | - |
22 | 폴카닷 | DOT | 83.42 | A- | O | - |
23 | 라이트코인 | LTC | 83.07 | A- | X | - |
24 | 엑시인피니티 | AXS | 82.90 | A- | O | - |
25 | 테조스 | XTZ | 82.16 | A- | O | - |
26 | 칠리즈 | CHZ | 81.69 | A- | O | - |
27 | 베이직어텐션토큰 | BAT | 81.21 | A- | O | - |
28 | 아스타 | ASTR | 80.85 | A- | O | - |
29 | 더그래프 | GRT | 80.63 | A- | O | - |
30 | 엔진코인 | ENJ | 80.51 | A- | O | - |
31 | 메이커 | MKR | 80.46 | A- | O | - |
32 | 디센트럴랜드 | MANA | 80.36 | A- | O | - |
33 | 엘프 | ELF | 79.69 | B+ | O | - |
34 | 페페 | PEPE | 79.68 | B+ | O | - |
35 | 카이아 | KAIA | 79.56 | B+ | O | - |
36 | 에이프코인 | APE | 79.39 | B+ | O | - |
37 | 퀀텀 | QTUM | 79.02 | B+ | O | - |
38 | 마스크 네트워크 | MASK | 77.75 | B+ | O | - |
39 | 렌더토큰 | RENDER | 75.93 | B+ | O | - |
40 | 사이버 | CYBER | 75.71 | B+ | O | - |
41 | 갈라 | GALA | 75.58 | B+ | O | - |
42 | 리스크 | LSK | 74.99 | B+ | O | - |
43 | 이오스 | EOS | 74.88 | B+ | O | - |
44 | 플레어 | FLR | 74.80 | B+ | O | - |
45 | 온톨로지 | ONT | 73.86 | B+ | O | - |
46 | 비트코인캐시 | BCH | 73.41 | B+ | O | - |
47 | 이더리움클래식 | ETC | 72.48 | B+ | O | - |
48 | 다이 | DAI | 70.62 | B+ | O | - |
49 | 랩트비트코인 | WBTC | 68.16 | B | O | - |
50 | 아이오에스티 | IOST | 67.81 | B | O | - |
51 | 보바토큰 | BOBA | 67.09 | B | O | - |
52 | 넴 | XEM | 65.12 | B | O | - |
53 | 오아시스 | OAS | 64.54 | B | O | - |
54 | 솔라 | SXP | 62.76 | B | O | - |
55 | 겐소키시 메타버스 | MV | 59.80 | B- | X | 일본 프로젝트 |
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BSV | 58.47 | B- | O | - |
57 | 보라 | BORA | 56.09 | B- | O | - |
58 | 오엠지 네트워크 | OMG | 54.82 | C+ | X | - |
59 | 딥코인 | DEP | 52.50 | C+ | X | 일본 프로젝트 |
60 | 론드 | ROND | 50.36 | C+ | X | 일본 프로젝트 |
61 | 코스플레이 토큰 | COT | 45.21 | C | X | 일본 프로젝트 |
62 | 심볼 | XYM | 44.51 | C- | X | 일본 프로젝트 |
63 | 피엘티 | PLT | 42.91 | C- | X | 일본 프로젝트 |
64 | 카운터파티 | XCP | 40.96 | C- | X | - |
65 | 스캡 코인 | SKEB | 39.17 | D | X | 일본 프로젝트 |
66 | 피낭시에 토큰 | FNCT | 37.41 | D | X | 일본 프로젝트 |
67 | 모나코인 | MONA | 37.16 | D | X | 일본 프로젝트 |
68 | 브릴리언트크립토 | BRIL | 32.33 | D | X | 일본 프로젝트 |
69 | 피스코 코인 | FSCC | 24.91 | D- | X | 일본 프로젝트 |
6. 종합 인사이트
다양성의 강자: 한국 가상자산 거래소의 폭넓은 자산 지원
- • 한국 주요 거래소는 총 515개의 가상자산을 거래지원하여, 일본 주요 거래소 대비 약 7.5배에 달하는 다양한 가상자산의 거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시장이 보다 광범위한 투자 옵션을 제공하며, 다양한 투자자의 니즈를 충족 시키기 위한 전략적 접근을 취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양한 자산 구성이 곧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혁신적 프로젝트의 조기 수용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신뢰성을 우선시한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의 심사 전략
- • 반면,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의 전체 가상자산 평균 평가점수가 74점으로, 한국(65점)보다 높은 평가를 받은 자산을 선별 거래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의 FSA 및 JVCEA 등 까다로운 거래지원 심사 기준을 반영한 결과로, 신뢰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시장 특성을 보여줍니다. 거래를 지원하는 가상자산 수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엄격한 기준을 통한 선별 과정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보다 안전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압도적인 한국 가상자산 거래소의 현물 거래량이 보여주는 투자 열기의 차별화
- • 한국 주요 거래소의 거래량은 일본 대비 13배로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업비트와 빗썸이 한국 가상자산 시장을 점유하여 거래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업비트의 경우, 글로벌 최상위 거래소와 비교할 때 현물 거래 기준으로 최상위권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어, 국내 투자자들이 가상자산 투자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규제의 제도화,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열쇠
- • 일본은 가상자산 거래업협회(JVCEA)를 중심으로 자율규제와 정부 감독을 조화롭게 운영하며, 통일된 거래지원 기준을 통해 투자자 보호와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모든 거래소가 동일한 기준으로 거래지원 및 거래지원 종료를 심사하고, 규제 기관과 협력하여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명확하고 일관된 규제 체계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 특히, 거래지원 기준의 통일성과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가상자산 프로젝트와 투자자 모두에게 신뢰를 제공하고, 글로벌 프로젝트의 적극적인 유치를 촉진해야 합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시장의 건전한 성장을 유도하며, 한국 가상자산 시장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마치며... APYWA의 한국과 일본 가상자산 거래소 현황 분석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가상자산 시장 특성과 차이점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각국 거래소의 운영 방식, 가상자산 지원 현황, 시장 집중도 및 유동성 차이를 파악하고,
투자자 및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한국과 일본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가상자산 시장 특성과 차이점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각국 거래소의 운영 방식, 가상자산 지원 현황, 시장 집중도 및 유동성 차이를 파악하고,
투자자 및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