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보고서

  • HOME
  • 분석보고서
[AR-25-026]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본 보고서는 202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1개월간 5대 거래소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을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종합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1) 업비트
2) 빗썸
3) 코인원
4) 코빗
5) 고팍스
3. 주요 소식
4. 사건 사고

1. 종합 현황

개요
  • • AR-25-026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2025년 6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며,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은 33개(중복 제외 시 11개), 거래지원 종료 가상자산은 11개(중복 제외 시 6개)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거래 지원된 전체 가상자산 수는 567개로 전체 평균 평가점수는 65점이며, 평가 완료 가상자산의 전체 평균 평가등급은 B등급입니다.
  • • 전체 평가 완료 가상자산 중 양호(B그룹 이상) 가상자산은 449개(79.2%)이고, 주의(B그룹 미만) 가상자산은 118개(20.8%)입니다.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개요
  • •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는 거래소는 빗썸(400개)이며, 가상자산 평균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거래소는 코빗(72점)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에 유의종목으로 지정 중인 가상자산 수(중복 제외)는 총 10개이며, 빗썸, 고팍스(4개)가 가장 많은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이 있고,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의 평균 평가점수는 45점입니다.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1) 업비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라그랑주 LA 64.36 B 2025-06-06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2 밸런스 EPT 65.13 B 2025-06-10 게임, 소셜 / 탈중앙화조직, 인공지능(AI)
3 해달 프로토콜 HAEDAL 66.46 B 2025-06-16 레이어 3, 금융 상품, 스테이킹
4 *뉴턴 프로토콜 NEWT 71.64 B+ 2025-06-25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5 *사하라에이아이 SAHARA 76.46 B+ 2025-06-26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넴 XEM 65.00 B 2025-05-19 금융상품
2 *스톰엑스 STMX 54.01 C+ 2025-05-19 미디어 / 스트리밍
*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7월 3일(목)
*스톰엑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7월 3일(목)
*신세틱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24일(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6월, 업비트는 총 5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5월의 13건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한 수치로, 단기적으로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속도에 일부 조정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68.81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별로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적·사업적 검토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6월 중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6월 중 업비트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5개 가상자산 가운데 뉴턴 프로토콜과 사하라에이아이 등 2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업비트가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40%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2) 빗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소폰 SOPH 70.79 B+ 2025-06-02 레이어 2, 스테이킹, 엔터테인먼트, 상호운용성 / 브릿지
2 *라그랑주 LA 64.36 B 2025-06-05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3 *도그위프햇 WIF 75.79 B+ 2025-06-10
4 포켓 네트워크 POKT 63.89 B 2025-06-10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5 *스파크 SPK 72.33 B+ 2025-06-17 레이어 2, 금융 상품, 스테이킹
6 포르타 FORT 59.23 B- 2025-06-19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보안
7 후마 파이낸스 HUMA 75.31 B+ 2025-06-19 레이어 3, 대출, 금융 상품, 지급결제 인프라, 스테이블코인 관련자산
8 디파이 앱 HOME 73.93 B+ 2025-06-24 레이어 3, 스테이킹, 지급결제 인프라,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상호운용성 / 브릿지
9 *뉴턴 프로토콜 NEWT 71.64 B+ 2025-06-25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10 *사하라에이아이 SAHARA 76.46 B+ 2025-06-26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11 메이플 파이낸스 SYRUP 67.62 B 2025-06-27 대출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스톰엑스 STMX 54.01 C+ 2025-05-19 미디어/스트리밍
2 알렉스 ALEX 63.28 B 2025-06-09 대출,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3 펠라즈 FLZ 48.51 C 2025-06-27 메타버스, 엔터테인먼트
4 레버파이 LEVER 52.08 C+ 2025-06-30 대출, 금융 상품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6월 2일(월)
*어셈블 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30일(월)
*스톰엑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7월 3일(목)
*지케이싱크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13일(금)
*신세틱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24일(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6월, 빗썸은 총 1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5월의 14건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로,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신규 자산 유입 기조를 유지하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0.12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한편,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2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8.32점으로 ‘B-’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6월 중 빗썸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1개 가상자산 가운데 라그랑주, 도그위프햇, 스파크, 뉴턴 프로토콜, 사하라에이아이 등 5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빗썸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45%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3) 코인원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수뎅 HIPPO 71.08 B+ 2025-06-02 밈, 스테이킹, 소셜 / 탈중앙화조직
2 *포트쓰리 PORT3 69.47 B 2025-06-04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3 *라그랑주 LA 64.36 B 2025-06-05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4 메이플 파이낸스 SYRUP 67.15 B 2025-06-09 대출
5 아치루트 AL 59.53 B- 2025-06-11 NFT, 게임
6 펀디에이아이 PUNDIAI 62.16 B 2025-06-12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7 펀디엑스 PUNDIX 71.04 B+ 2025-06-13 지급결제 인프라
8 해달 프로토콜 HAEDAL 66.46 B 2025-06-16 레이어 3, 금융 상품, 스테이킹
9 *칠가이 CHILLGUY 61.76 B 2025-06-17
10 갤럭시아 GXA 30.62 D 2025-06-18 금융 상품, NFT
11 *디파이 앱 HOME 73.37 B+ 2025-06-19 레이어 3, 스테이킹,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지급결제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12 *에이아이엑스비티 AIXBT 74.52 B+ 2025-06-20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13 스트라티스 STRAX 70.77 B+ 2025-06-23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14 *휴머니티 프로토콜 H 71.57 B+ 2025-06-26 레이어 2, 탈중앙화 신원인증(DID), 보안
15 유에스디에스 USDS 73.43 B+ 2025-06-27 스테이블 코인
16 사하라에이아이 SAHARA 79.51 B+ 2025-06-30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위믹스 WEMIX 60.72 B   2025-03-04 메타버스, NFT, 게임
2 지케이싱크 ZK 76.30 B+ 2025-04-17 상호운용성/브릿지
3 신세틱스 SNX 70.97 B+ 2025-04-24 금융상품
4 *어셈블 에이아이 ASM 54.81 C+ 2025-04-24 미디어/스트리밍, 인공지능(Al)
5 세터스 CETUS 69.76 B   2025-05-26 금융 상품,
탈중앙화거래소/애그리게이터
*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2일(월)
* 어셈블 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30일(월)
*지케이싱크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13일(금)
*세터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23일(월)
*신세틱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24일(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6월, 코인원은 총 16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5월의 20건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이나, 여전히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많은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을 유지하는 기조를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66.68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적·사업적 심사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2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8.32점으로 ‘B-’ 등급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 • 2025년 5월 이후 코인원은 주말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으로 거의 매일 거래지원을 개시하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유동성 부족 이슈가 지적된 이후에는 거래지원 1~2일 전에 사전 공지를 통해 유동성 확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기적 상장 빈도 유지와 동시에 시장 기능 안정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6월 중 코인원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6개 가상자산 가운데 수뎅, 포트쓰리, 라그랑주, 칠가이, 디파이 앱, 에이아이엑스비티, 휴머니티 프로토콜 등 7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44%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4) 코빗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솔레이어 LAYER 77.40 B+ 2025-06-04 스테이킹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 - - - - - -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6월 2일(월)

*지케이싱크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13일(금)
*신세틱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24일(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6월, 코빗은 총 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의 2건 대비 1건 감소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77.40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였으며, 프로젝트 검토 결과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편에 속하였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1건이었으며, 해당 자산의 평균 평가는 60.72점으로 ‘B’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 • 6월 중 코빗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 가운데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사례는 없었으며, 모두 기존에 타 거래소에서 이미 거래지원을 받고 있던 자산에 대한 후속 지원에 해당하였습니다.
5) 고팍스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 - - - - - -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폴체인 POLL 15.00 NR 2025-03-13 소셜/탈중앙화조직
2 게놈파이 GENO 39.93 D   2025-04-01 NFT,헬스케어
3 *레지스 LED 23.43 D- 2025-05-22 탈중앙화 신원인증(DID), 보안
4 비트에덴리치 BITBEDR 43.09 C- 2025-06-10 NFT, 크라우드 펀딩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2일(월)
*베리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2일(월)
*헤파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2일(월)
*파르카나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23일(월)

*헤데라 길드 게임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23일(월)
*어셈블 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6월 30일(월)
*레지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7월 7일(월)

*신세틱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6월 24일(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6월, 고팍스는 신규 가상자산에 대한 거래지원을 개시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변화 없는 수준으로, 신규 자산 유입은 사실상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였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6건으로,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많은 종료 건수를 기록하였습니다. 종료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48.04점으로 ‘C+’ 등급에 해당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 6월에는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이 없었기 때문에,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사례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3. 주요소식

미국 GENIUS 스테이블코인 법안, 상원 본회의 통과(관련 링크)

  • • 2025년 6월 12일, 미국 상원은 GENIUS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주요 표결에서 통과시키며 암호화폐 규제 입법의 중대한 분기점을 마련했습니다. 수 주간 트럼프와 관련된 정치적 논란으로 표류하던 법안이 본격적인 절차를 밟게 되었고, 특히 메타(Meta)의 디지털 화폐 계획과 관련해 상원 의원들은 저커버그 CEO에게 질의서를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입법 진전은 미국 내 민간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제도적 명확성을 부여하고, 글로벌 시장에도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평가됩니다.
  •  

베트남, 암호화폐 공식 합법화… 디지털 기술법 통과(관련 링크)

  • • 2025년 6월 16일, 베트남 정부는 ‘디지털 기술법(Digital Technology Law)’을 통과시키며 암호화폐를 공식적으로 합법화하였습니다. 이 법은 암호화폐 외에도 인공지능(AI), 반도체, 디지털 인프라 개발에 관한 포괄적 규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투자 인센티브 및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기술 산업 전반의 성장을 촉진할 계획입니다. 동남아 국가 중 암호화폐를 명확히 법제화한 사례로, 향후 아시아 시장에서의 제도권 진입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  

Binance 창립자 CZ, 암호화폐 ‘유언 기능’ 제안(관련 링크)

  • • 2025년 6월 19일, 바이낸스 창립자 창펑 자오(CZ)는 “암호화폐 사용자가 사망 시 자산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속할 수 있어야 한다”며, ‘유언 기능(Will function)’ 도입을 암시했습니다. 이는 탈중앙화 자산의 특성상 사망 시 접근 권한을 상속인에게 이전하기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으로, 향후 지갑 서비스 및 거래소의 상속 체계 도입 논의에 불을 붙일 전망입니다. 특히 CZ는 이 기능이 블록체인 지갑 보안성과도 연결될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  

한국은행 총재,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반대하지 않는다”(관련 링크)

  • • 2025년 6월 20일,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원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발행 자체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외환시장 안정성과 관련된 리스크를 고려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도 강조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내 스테이블코인 규제 논의의 흐름에서 사실상 제도 수용 가능성을 처음으로 중앙은행이 인정한 사례로, 향후 민간 사업자와 정책 당국 간의 협업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4. 사건 사고

이란 노비텍스(Nobitex), 4,865만 달러 규모 해킹 정황 포착(관련 링크)

  • • 2025년 6월 18일, 블록체인 보안 전문가 잭XBT(ZachXBT)는 이란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노비텍스(Nobitex)가 약 4,865만 달러 상당의 트론(TRX) 자산을 해킹당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TKFuckiRGCTerroristsNoBiTEXy2r7mNX’라는 문구가 포함된 바니티 주소(vanity address)를 사용했으며, 이는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지갑 주소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노비텍스는 아직 공식 성명을 내지 않았으나, 이란 내 디지털 자산 거래소 전반에 대한 보안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  

알렉스(ALEX), 보상 페이지 버그로 ‘제3차 익스플로잇’ 위기(관련 링크)

  • • 2025년 6월 19일, 스택스(STX)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알렉스(ALEX)는 해킹 피해 사용자 보상을 위한 전용 페이지에서 '무한 청구 버그'가 발견되었다는 제보를 받았습니다. 해당 버그는 보상금액을 중복 청구할 수 있는 결함으로, 고래 지갑 사용자가 이를 악용했다면 3차 해킹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었습니다. 알렉스는 이미 2023년 5월과 2025년 6월 초에 각각 익스플로잇 피해를 입은 바 있어, 이번 사건은 프로토콜의 구조적 취약성에 대한 심각한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코인마켓캡, 악성코드 링크 삽입 해킹 피해…조치 완료(관련 링크)

  • • 2025년 6월 21일,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은 홈페이지에 삽입된 악성 링크로 인해 프론트엔드 해킹 공격을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링크는 사이트 상단에 노출된 두들스(Doodles) 이미지에 심겨 있었으며, 현재 악성코드 제거 및 보안 조사 조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웹 기반 암호화폐 서비스의 프론트엔드 보안 취약점이 다시 한 번 경고된 사건입니다.
  •  

리서플라이, $950만 해킹 피해 발생 및 스마트 컨트랙트 중단(관련 링크)

  • • 2025년 6월 26일,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리서플라이(Resupply)는 자사의 wstUSR 마켓에서 약 950만 달러(약 130억 원) 규모의 해킹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팀은 즉시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를 중단 조치하였으며, 피해 범위는 해당 마켓에 국한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체 프로토콜 운영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사용자 신뢰 회복과 보안 강화가 당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  
 
마치며... APYWA의 정기 평가에 대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평가 정보를 요약하여 담아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