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보고서

  • HOME
  • 분석보고서
[AR-25-029]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본 보고서는 2025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1개월간 5대 거래소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을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종합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1) 업비트
2) 빗썸
3) 코인원
4) 코빗
5) 고팍스
3. 주요 소식
4. 사건 사고

1. 종합 현황

개요
  • • AR-25-029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2025년 7월 1일부터 2025년 7월 31일까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며,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은 40개(중복 제외 시 16개), 거래지원 종료 가상자산은 4개(중복 제외 시 3개)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거래 지원된 전체 가상자산 수는 580개로 전체 평균 평가점수는 66점이며, 평가 완료 가상자산의 전체 평균 평가등급은 B등급입니다.
  • • 전체 평가 완료 가상자산 중 양호(B그룹 이상) 가상자산은 472개(81.4%)이고, 주의(B그룹 미만) 가상자산은 108개(18.6%)입니다.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개요
  • •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는 거래소는 빗썸(408개)이며, 가상자산 평균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거래소는 코빗(73점)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에 유의종목으로 지정 중인 가상자산 수(중복 제외)는 총 21개이며, 빗썸, 코인원(9개)이 가장 많은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이 있고,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의 평균 평가점수는 46점입니다.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1) 업비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무뎅 MOODENG 64.69 B 2025-07-03
2 바빌론 BABY 76.7 B+ 2025-07-10 스테이킹, 소셜 / 탈중앙화조직, 상호운용성 / 브릿지
3 에테나 ENA 76.41 B+ 2025-07-11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자산
4 *칼데라 ERA 79.43 B+ 2025-07-18 레이어 2,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5 메이플파이낸스 SYRUP 67.06 B 2025-07-25 대출
6 후마 파이낸스 HUMA 75.54 B+ 2025-07-25 레이어 3, 대출,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자산, 지급결제 인프라
7 옵티미즘 OP 83.8 A- 2025-07-28 레이어 2, 금융 상품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스트라이크 STRIKE 55.86 B- 2025-07-04 대출
2 *퀴즈톡 QTCON 39.89 D 2025-07-10 소셜 / 탈중앙화조직
3 *펀디에이아이 PUNDIAI 57.07 B- 2025-07-14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7월 3일(목)
*스톰엑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7월 3일(목)
*스트라이크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1일(목)
*퀴즈톡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5일(월)
*펀디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8일(목)

요약 및 해석

  • • 2025년 7월, 업비트는 총 7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6월의 5건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로,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신규 자산 유입 기조를 유지하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4.80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2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62.29점으로 ‘B’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기존 거래지원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감안하면 높은 점수이나,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에 따른 검토 결과가 반영된 부분이 큰 것으로 보여집니다.
  • • 6월 중 업비트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7개 가상자산 가운데 칼데라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업비트가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14% 수준으로, 대부분 기존에 타 거래소에서 이미 거래지원을 하고 있던 자산에 대한 후속 지원에 해당하였습니다.
2) 빗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만트라 OM 68.73 B 2025-07-03 레이어 1, 실물자산(RWA)
2 휴머니티 프로토콜 H 75.95 B+ 2025-07-03 레이어 2, 탈중앙화 신원인증(DID), 보안
3 하이퍼레인 HYPER 71.39 B+ 2025-07-10 레이어 0, 상호운용성 / 브릿지
4 *리졸브 RESOLV 61.29 B 2025-07-11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자산
5 *이클립스 ES 71.94 B+ 2025-07-16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6 *칼데라 ERA 79.43 B+ 2025-07-18 레이어 2,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7 멀린체인 MERL 74.74 B+ 2025-07-24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오라클
8 리스타다오 LISTA 78.51 B+ 2025-07-24 대출,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자산
9 *체인베이스 C 80.16 A- 2025-07-29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알렉스 ALEX 63.28 B 2025-06-09 대출,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2 *펠라즈 FLZ 48.51 C 2025-06-27 메타버스, 엔터테인먼트
3 *레버파이 LEVER 52.08 C+ 2025-06-30 대출, 금융 상품
4 *왐토큰 WOM 40.50 C- 2025-07-03 미디어 / 스트리밍, 소셜 / 탈중앙화조직
5 *크웬타 KWENTA 45.91 C 2025-07-03 금융 상품,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6 *스트라이크 STRIKE 55.86 B- 2025-07-04 대출
8 *퀴즈톡 QTCON 39.89 D 2025-07-10 소셜 / 탈중앙화조직
9 *펀디에이아이 PUNDIAI 60.93 B 2025-07-14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10 WOO 57.52 B- 2025-07-25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스톰엑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7월 3일(목)
*알렉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1일(월)
*펠라즈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4일(목)
*레버파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8일(월)
*스트라이크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1일(목)
*퀴즈톡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5일(월)
*크웬타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5일(월)
*왐토큰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5일(월)
*펀디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8일(목)
*지엠엑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7월 30일(수)

요약 및 해석

  • • 2025년 7월, 빗썸은 총 9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6월의 11건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로,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신규 자산 유입 기조를 유지하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3.57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1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9.77점으로 ‘B-’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7월 중 빗썸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9개 가상자산 가운데 리졸브, 이클립스, 칼데라, 체인베이스 등 4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빗썸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44%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3) 코인원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피크 PEAQ 75.59 B+ 2025-07-01 레이어 1, 사물인터넷(IoT)
2 *프래그메트릭 FRAG 60.21 B 2025-07-01 레이어 3, 금융상품, 스테이킹
3 뉴턴 프로토콜 NEWT 72.65 B+ 2025-07-04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4 팬시 FANC 44 C- 2025-07-07 엔터테인먼트, 소셜 / 탈중앙화조직
5 오비터 파이낸스 OBT 65.16 B 2025-07-08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6 도그위프햇 WIF 75.14 B+ 2025-07-09
7 *멀린체인 MERL 73.93 B+ 2025-07-10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오라클
8 라이브피어 LPT 68.34 B 2025-07-11 미디어 / 스트리밍
9 *팝캣 POPCAT 67.43 B 2025-07-16
10 이클립스 ES 71.94 B+ 2025-07-17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11 *펌프닷펀 PUMP 79.74 B+ 2025-07-17 밈,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소셜 / 탈중앙화조직
12 SOON 68.52 B 2025-07-18 레이어 2,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13 버블맵스 BMT 67.58 B 2025-07-21 NFT,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14 플로키 FLOKI 80.2 A- 2025-07-22
15 *모그 코인 MOG 71.23 B+ 2025-07-23
16 *엑스디씨 네트워크 XDC 74.39 B+ 2025-07-25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17 *얄라 YALA 71.8 B+ 2025-07-25 금융 상품, 스테이킹
18 *디랩스게임즈 DELABS 71.19 B+ 2025-07-29 NFT, 게임
19 로아코어 ROA 48.12 C 2025-07-30 메타버스, NFT
20 *밀키웨이 MILK 63.03 B 2025-07-30 레이어 1,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21 체인베이스 C 79.65 B+ 2025-07-3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알렉스 ALEX 63.28 B 2025-06-09 대출,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2 *엔에프 프롬프트 NFP 59.72 B- 2025-06-23 NFT, 인공지능(AI)
3 *시리얼 CEP 37.3 D 2025-07-01 NFT, 게임
4 *알더블유에이엑스 APP 38.3 D 2025-07-01 실물자산(RWA),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5 *볼트 이누 VOLT 54.49 C+ 2025-07-01
6 *퀴즈톡 QTCON 39.89 D 2025-07-10 소셜 / 탈중앙화조직
7 *펀디에이아이 PUNDIAI 60.93 B 2025-07-14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8 이더니티 체인 ERN 64.93 B 2025-07-21 NFT
9 WOO 57.52 B- 2025-07-25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알렉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1일(월)
*알더블유에이엑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8일(월)
*시리얼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8일(월)
*볼트 이누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18일(월)

*엔에프 프롬프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0일(수)
*퀴즈톡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5일(월)
*펀디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28일(목)

요약 및 해석

  • • 2025년 7월, 코인원은 총 2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5월의 16건 대비 증가한 수치이며,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많은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을 유지하는 기조를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69.04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7월 중 코인원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21개 가상자산 가운데 프래그메트릭, 멀린체인, 팝캣, 펌프닷펀, 모그 코인, 엑스디씨 네트워크, 얄라, 디랩스게임즈, 밀키웨이 등 9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43%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 • 6월 중 코인원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6개 가상자산 가운데 수뎅, 포트쓰리, 라그랑주, 칠가이, 디파이 앱, 에이아이엑스비티, 휴머니티 프로토콜 등 7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44%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4) 코빗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크로쓰 CROSS 77.98 B+ 2025-07-25 레이어 1, 게임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수퍼레어 RARE 67.72 B 2025-07-29 NFT
*지엠엑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7월 30일(수)

요약 및 해석

  • • 2025년 7월, 코빗은 총 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6월의 1건 대비 동일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77.98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 7월 중 코빗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개 가상자산 가운데 크로쓰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100% 수준이나, 신규 거래지원 수가 워낙 적어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주도권 확보 의도가 있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5) 고팍스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틱트릭스 TRIX 33.28 D 2025-07-16 게임, 소셜 / 탈중앙화조직
2 *파우터 FTR 43.55 C- 2025-07-29 엔터테인먼트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폴체인 POLL 15 NR 2025-03-13 소셜 / 탈중앙화조직
2 *게놈파이 GENO 39.93 D 2025-04-01 NFT, 헬스케어
3 비트에덴리치 BITBEDR 43.09 C- 2025-06-10 NFT, 크라우드 펀딩
4 밀로 MILO 19.1 NR 2025-07-03 지급결제 인프라
5 슈퍼트러스트 SUT 50.49 C+ 2025-07-03 실물자산(RWA)
6 에어라이언 AIR 41.72 C- 2025-07-03 헬스케어
*레지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7월 7일(월)

*게놈파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8월 4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7월, 고팍스는 총 2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6월의 0건 대비 증가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1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25.93점으로 ‘D-’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7월 중 고팍스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2개 가상자산 가운데 틱트릭스, 파우터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고팍스가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100% 수준으로, 최근 3개월간 신규 거래지원한 가상자산이 모두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 • 고팍스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의 공통점은 모두 국내산 프로젝트(프로젝트 핵심 인력이 대한민국 국적, 주요 제품의 서비스 지역이 대한민국, 운영 법인이 대한민국 소재지인 프로젝트인 경우)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3. 주요소식

파키스탄 중앙은행, CBDC 시범 사업 추진 및 가상자산 규제 준비(관련 링크)

  • • 2025년 7월 9일, 파키스탄 중앙은행 총재는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시범 운영 계획을 발표하며 가상자산 관련 법률이 곧 완료 단계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Binance 창업자 창펑 자오를 전략고문으로 활용하며 관련 산업 육성 의지를 드러냈고, 인플레이션 안정 이후 규제 체계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  

기관 자금 유입 급증, 이더리움 ETF가 비트코인 제치며 선도(관련 링크)

  • • 2025년 7월 14~18일 “Crypto Week” 기간 동안 암호화폐 ETF에 총 44억 달러 규모 기관 자금이 유입되었으며, 이 중 이더리움 ETF가 24억 달러 이상을 흡수하며 비트코인을 제쳤습니다. 특히 ETH ETF는 7월 22일 단 하루 5.3억 달러를 기록했고, 13거래일 연속 순유입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시장에서 ETH가 이제 단순 자산을 넘어 기관들이 선호하는 전략적 보유 대상으로 자리잡았음을 시사합니다.
  •  

미국 하원, GENIUS Act 등 3대 암호화폐 법안 통과(관련 링크)

  • • 2025년 7월 17일, 미국 하원은 GENIUS Act(스테이블코인 규제법), Anti‑CBDC Surveillance State Act(연준 발행 CBDC 금지법), Digital Asset Market Clarity Act(CFTC·SEC 권한 명확화 법안)를 모두 통과시켰습니다. 이는 의회가 “Crypto Week”(7월 14–18일)를 통해 암호화폐 제도 정립에 본격 나섰음을 의미하며, 시장은 정치권의 규제 명확화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PNC 은행, Coinbase와 제휴해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 내장(관련 링크)

  • • 2025년 7월 22일, 미국 PNC 은행은 Coinbase와 협업해 고객들이 은행 앱 내에서 직접 암호화폐를 매매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발표했습니다. 이 제휴는 전통 금융기관이 디지털 자산을 공식적으로 수용한 사례로 시장의 제도권 편입 흐름을 가속화하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4. 사건 사고

GMX, 유동성 풀 익스플로잇으로 4,200만 달러 규모 피해(관련 링크)

  • • 2025년 7월 9일, 디파이 파생상품 플랫폼 GMX는 GLP 유동성 풀에서 약 4,20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이 유출되는 익스플로잇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플랫폼 측은 익스플로잇 발생 직후 해커에게 화이트햇 바운티를 제시했고, 그 결과 약 4,050만 달러는 반환받는 데 성공했습니다. 최종 피해액은 약 300만 달러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며, 이번 사건은 디파이 설계의 구조적 취약성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음을 시사했습니다.
  •  

BigONE, 핫월렛 해킹으로 2,700만 달러 상당 유출(관련 링크)

  • • 2025년 7월 16일, 세이셸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BigONE은 핫월렛 시스템이 공격을 받아 약 2,7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이더리움, USDT, 솔라나 자산이 유출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거래소는 피해가 핫월렛에 한정되며 콜드월렛과 사용자 자산은 안전하다고 밝혔으며, 모든 손실은 전액 보상할 예정입니다. 이번 사건은 공급망 공격을 통해 핫월렛 취약점이 노출된 사례로, 중앙화 플랫폼의 기술적 리스크가 다시 부각되었습니다.
  •  

CoinDCX, 내부 계정 해킹으로 약 4,400만 달러 손실(관련 링크)

  • • 2025년 7월 18일, 인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CoinDCX는 내부 리스크 관리용 계정이 해킹당해 약 4,400만 달러(378크로어 루피)에 달하는 자산이 탈취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고객 자산에는 영향이 없으며, 모든 손실을 자체 준비금으로 전액 보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대 11만 달러의 회수 보상금을 제시하며, 해커의 신원 추적과 자금 환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인도 내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해킹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  

WOO X, 사용자 계좌 9건 해킹으로 1,400만 달러 탈취(관련 링크)

  • • 2025년 7월 25일, 암호화폐 거래소 WOO X는 총 9개의 사용자 지갑에서 비인가 출금이 발생해 약 1,40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이 탈취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는 BTC, ETH, BNB, ARB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활용했으며, 거래소는 즉시 출금 기능을 일시 중단하고 전 피해 사용자에게 전액 보상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사고는 다중 네트워크에 걸친 정교한 공격으로 평가되며, 사전 대응을 통해 추가 피해는 차단되었습니다.
  •  
 
마치며... APYWA의 정기 평가에 대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평가 정보를 요약하여 담아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