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보고서

  • HOME
  • 분석보고서
[AR-25-030]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2025년 8월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본 보고서는 2025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1개월간 5대 거래소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을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종합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1) 업비트
2) 빗썸
3) 코인원
4) 코빗
5) 고팍스
3. 주요 소식
4. 사건 사고

1. 종합 현황

개요
  • • AR-25-030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2025년 8월 1일부터 2025년 8월 31일까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며,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은 25개(중복 제외 시 11개), 거래지원 종료 가상자산은 19개(중복 제외 시 13개)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거래 지원된 전체 가상자산 수는 578개로 전체 평균 평가점수는 66점이며, 평가 완료 가상자산의 전체 평균 평가등급은 B등급입니다.
  • • 전체 평가 완료 가상자산 중 양호(B그룹 이상) 가상자산은 466개(80.6%)이고, 주의(B그룹 미만) 가상자산은 112개(19.4%)입니다.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2025년 8월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2025년 8월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025년 8월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개요
  • •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는 거래소는 빗썸(406개)이며, 가상자산 평균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거래소는 코빗(74점)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에 유의종목으로 지정 중인 가상자산 수(중복 제외)는 총 12개이며, 코인원, 고팍스(5개)가 가장 많은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이 있고,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의 평균 평가점수는 48점입니다.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2025년 8월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2025년 8월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1) 업비트
2025년 8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업비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8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업비트)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서싱트 PROVE 81.22 A- 2025-08-06 레이어 3, 데이터 인프라, 오라클
2 스토리 IP 84.88 A 2025-08-08 레이어 1, 실물자산(RWA)
3 에어로드롬 파이낸스 AERO 74.44 B+ 2025-08-22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4 트리하우스 TREE 71.82 B+ 2025-08-28 금융 상품, 스테이킹, 데이터 인프라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 - - - - - -
*스트라이크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1일(목)
*퀴즈톡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5일(월)
*펀디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8일(목)
 

요약 및 해석

  • • 2025년 8월, 업비트는 총 4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7월의 7건 대비 감소한 수치로,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8.09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3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2.21점으로 ‘C+’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8월 중 업비트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4개 가상자산 가운데 서싱트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업비트가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25% 수준으로, 대부분 기존에 타 거래소에서 이미 거래지원을 하고 있던 자산에 대한 후속 지원에 해당하였습니다.
2) 빗썸
2025년 8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빗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8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빗썸)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서싱트 PROVE 81.22 A- 2025-08-06 레이어 3, 데이터 인프라, 오라클
2 *트리하우스 TREE 71.87 B+ 2025-08-08 금융 상품, 스테이킹, 데이터 인프라
3 타운즈 TOWNS 70.52 B+ 2025-08-13 NFT, 소셜 / 탈중앙화조직
4 바이오프로토콜 BIO 71.89 B+ 2025-08-19 레이어 3, 소셜 / 탈중앙화조직, 크라우드 펀딩, 데이터 인프라, 헬스케어
5 *스테이더 SD 57.11 B- 2025-08-26 금융 상품, 스테이킹, 데이터 인프라
6 *캠프 네트워크 CAMP 68.92 B 2025-08-29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보안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셀프 체인 SLF 69.12 B 2025-08-07 레이어 1, 보안
2 믹스마블 MIX 55.53 B- 2025-08-18 메타버스, NFT, 게임
3 라이파이낸스 SOFI 42.87 C- 2025-08-21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알렉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1일(월)
*펠라즈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4일(목)
*레버파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8일(월)
*스트라이크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1일(목)
*퀴즈톡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5일(월)
*크웬타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5일(월)
*왐토큰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5일(월)
*펀디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8일(목)
*우 유의종목 해제: 2025년 8월 20일(수)

요약 및 해석

  • • 2025년 8월, 빗썸은 총 6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7월의 9건 대비 감소한 수치로,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0.16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8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1.73점으로 ‘C+’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8월 중 빗썸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6개 가상자산 가운데 서싱트, 트리하우스, 스테이더, 캠프 네트워크 등 4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빗썸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67%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3) 코인원
2025년 8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코인원)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8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코인원)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크로쓰 CROSS 74.62 B+ 2025-08-01 레이어 1, 게임
2 젬허브 GHUB 48.35 C 2025-08-01 NFT, 게임
3 서싱트 PROVE 82.02 A- 2025-08-07 레이어 3, 데이터 인프라, 오라클
4 *인피니트 IN 65.52 B 2025-08-07 스테이킹,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5 *타운즈 TOWNS 70.34 B+ 2025-08-07 NFT, 소셜 / 탈중앙화조직
6 *바인 코인 VINE 63.66 B 2025-08-12 밈, 엔터테인먼트
7 바이오프로토콜 BIO 72.25 B+ 2025-08-13 레이어 3, 소셜 / 탈중앙화조직, 크라우드 펀딩, 데이터 인프라, 헬스케어
8 모스 코인 MOC 55.26 B- 2025-08-14 실물자산(RWA)
9 *메타씬 MAK 58.53 B- 2025-08-19 메타버스, NFT, 게임
10 *엠와이엑스 파이낸스 MYX 67.35 B 2025-08-20 스테이킹,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11 파티클 네트워크 PARTI 77.19 B+ 2025-08-21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탈중앙화 신원인증(DID), 월렛 / 메시징
12 *오버테이크 TAKE 64.96 B 2025-08-26 NFT, 게임, 지급결제 인프라
13 스파크 SPK 74.75 B+ 2025-08-27 레이어 2, 금융 상품, 스테이킹
14 *비트레이어 BTR 74.81 B+ 2025-08-28 레이어 2,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알렉스 ALEX 63.28 B 2025-06-09 대출,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2 *엔에프 프롬프트 NFP 59.72 B- 2025-06-23 NFT, 인공지능(AI)
3 *시리얼 CEP 37.3 D 2025-07-01 NFT, 게임
4 *알더블유에이엑스 APP 38.3 D 2025-07-01 실물자산(RWA),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5 *볼트 이누 VOLT 54.49 C+ 2025-07-01
6 *퀴즈톡 QTCON 39.89 D 2025-07-10 소셜 / 탈중앙화조직
7 *펀디에이아이 PUNDIAI 60.93 B 2025-07-14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8 이더니티 체인 ERN 64.93 B 2025-07-21 NFT
9 WOO 57.52 B- 2025-07-25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이더니티 체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9월 22일(월)
*알렉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1일(월)
*알더블유에이엑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8일(월)
*시리얼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8일(월)
*볼트 이누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18일(월)

*엔에프 프롬프트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0일(수)
*퀴즈톡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5일(월)
*펀디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28일(월)
*우 유의종목 해제: 2025년 8월 20일(수)

요약 및 해석

  • • 2025년 8월, 코인원은 총 14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7월의 21건 대비 감소한 수치이며,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많은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을 유지하는 기조를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67.76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7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1.10점으로 ‘C+’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8월 중 코인원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4개 가상자산 가운데 인피니트, 타운즈, 바인 코인, 메타씬, 엠와이엑스 파이낸스, 오버테이크, 비트레이어 등 7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50%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4) 코빗
2025년 8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코빗)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8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코빗)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디랩스게임즈 DELABS 66.07 B 2025-08-29 NFT, 게임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 - - - - - -
*수퍼레어 유의종목 해제: 2025년 8월 11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8월, 코빗은 총 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7월의 1건 대비 동일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66.07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8월 중 코빗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개 가상자산 가운데 코빗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은 없었습니다.
5) 고팍스
2025년 8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고팍스)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8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고팍스)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 - - - - - -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폴체인 POLL 15 NR 2025-03-13 소셜 / 탈중앙화조직
2 *게놈파이 GENO 39.93 D 2025-04-01 NFT, 헬스케어
3 비트에덴리치 BITBEDR 43.09 C- 2025-06-10 NFT, 크라우드 펀딩
4 밀로 MILO 19.1 NR 2025-07-03 지급결제 인프라
5 슈퍼트러스트 SUT 50.49 C+ 2025-07-03 실물자산(RWA)
6 에어라이언 AIR 41.72 C- 2025-07-03 헬스케어
*비트에덴리치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9월 8일(월)
*슈퍼트러스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9월 8일(월)

*게놈파이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8월 4일(월)
*폴체인 유의종목 해제: 2025년 8월 8일(금)

요약 및 해석

  • • 2025년 8월, 고팍스는 총 0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7월의 2건 대비 감소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1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23.30점으로 ‘D-’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3. 주요소식

BlackRock, 암호화폐 보유액 1000억 달러 돌파(관련 링크)

  • • 2025년 8월 14일, 글로벌 자산 운용사 BlackRock의 암호화폐 보유 규모가 1,04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이 중 비트코인 중심의 구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 금융 영역에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전략적 의지와 장기 레버리지 확대 신호로 해석됩니다.
  •  

Gemini, 미국 증시 상장 및 EU MiCA 라이선스 확보(관련 링크)

  • • 2025년 8월 16일, 암호화폐 거래소 Gemini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나스닥 상장을 위한 S‑1 서류를 제출했습니다. 같은 달 21일에는 EU 전역에서 암호화폐 서비스 운영을 가능케 하는 MiCA 라이선스를 몰타 금융당국(MFSA)으로부터 획득하며, 유럽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  

아시아 부유층, 암호화폐 비중 확대 중(관련 링크)

  • • 2025년 8월 22일, 아시아의 유력 가족 사무소와 투자 부문에서 암호화폐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포착되었습니다. 싱가포르의 NextGen Digital Venture는 암호화폐 기반의 주식형 펀드를 출시하여 1억 달러 이상을 신속히 조달했으며, UBS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일부 가문 사무소는 포트폴리오 내 암호화폐 비중을 약 5%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규제 개선과 제도화 경향, 그리고 비트코인 최고가 기록 돌파(약 124,000달러)를 배경으로 한 변화입니다

Trump Media와 Crypto.com, SPAC을 통한 ‘채권 회사’ 설립 추진(관련 링크)

  • • 22025년 8월 26일, Trump Media & Technology Group과 Crypto.com은 합작으로 ‘Trump Media Group CRO Strategy’라는 디지털 자산 채권 회사를 설립하고, SPAC(기업인수목적회사) 방식으로 나스닥 상장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회사는 Cronos 토큰 10억 달러, 현금 2억 달러, 워런트 2.2억 달러, 그리고 50억 달러 규모의 주식신규발행 라인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  

4. 사건 사고

8월 전 세계 암호화폐 해킹 피해액, 약 1억 6,300만 달러 기록(관련 링크)

  • • 2025년 8월 한 달간 암호화폐 산업 전체에서 발생한 해킹 피해는 약 1억 6,3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5% 증가했습니다. 피해는 총 16건 건별 공격에 걸쳐 발생했으며, 가장 큰 단일 손실은 9,100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 도난이었습니다. 이는 보안 위협이 계속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  

LuBian 채굴 풀, 5년 전 BTC 도난 사건 처음 공개(관련 링크)

  • • 2025년 8월 2일, 분석 기업 Arkham Intelligence는 2020년 발생해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중국의 채굴 풀 LuBian에서 약 127,426 BTC가 도난당한 사건을 폭로했습니다. 당시 가치는 약 35억 달러였으며, 2025년 현재 가치는 약 145억 달러에 해당합니다. 이는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모의 도난 사건으로 기록되며, 보안 및 투명성의 중요성을 다시 환기시켰습니다.
  •  

BtcTurk, 멀티체인 공격으로 약 4,800만 달러 유출(관련 링크)

  • • 2025년 8월 14일, 터키 암호화폐 거래소 BtcTurk는 핫월렛에서 이더리움, Avalanche, Arbitrum, Base, Optimism, Mantle, Polygon 등 여러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멀티체인 공격으로 약 4,800만 달러 상당의 자산이 유출된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보안 업체 Cyvers가 이상 거래를 탐지한 후 거래소는 예치 및 인출을 일시 중단하고 조사에 나섰습니다.
  •  

BTC Hodler,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783 BTC 피해(관련 링크)

  • • 2025년 8월 19일, 한 비트코인 보유자는 하드웨어 지갑 제조사 및 거래소 고객지원 직원을 사칭한 공격자에게 지갑 접근 권한을 넘겨 약 783 BTC, 즉 약 9,140만 달러를 손실했습니다. 공격자는 지갑 자격 증명을 획득한 뒤 Wasabi Wallet을 통해 자금을 분산 전송해 흔적을 숨겼습니다.
  •  
 
마치며... APYWA의 정기 평가에 대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평가 정보를 요약하여 담아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