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보고서

  • HOME
  • 분석보고서
[AR-25-031]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2025년 9월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본 보고서는 2025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1개월간 5대 거래소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을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종합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1) 업비트
2) 빗썸
3) 코인원
4) 코빗
5) 고팍스
3. 주요 소식
4. 사건 사고

1. 종합 현황

개요
  • • AR-25-031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2025년 9월 1일부터 2025년 9월 30일까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며,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은 71개(중복 제외 시 29개), 거래지원 종료 가상자산은 3개(중복 제외 시 3개)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거래 지원된 전체 가상자산 수는 604개로 전체 평균 평가점수는 66점이며, 평가 완료 가상자산의 전체 평균 평가등급은 B등급입니다.
  • • 전체 평가 완료 가상자산 중 양호(B그룹 이상) 가상자산은 495개(82%)이고, 주의(B그룹 미만) 가상자산은 109개(18%)입니다.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2025년 9월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025년 9월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개요
  • •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는 거래소는 빗썸(428개)이며, 가상자산 평균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거래소는 코빗(74점)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에 유의종목으로 지정 중인 가상자산 수(중복 제외)는 총 14개이며, 코인원(10개)이 가장 많은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이 있고,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의 평균 평가점수는 48점입니다.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2025년 9월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2025년 9월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1) 업비트
2025년 9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업비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9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업비트)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월드리버티파이낸셜유에스디 USD1 76.91 B+ 2025-09-01 스테이블코인
2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WLFI 75.77 B+ 2025-09-01 대출, 금융 상품,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3 월드코인 WLD 82.31 A- 2025-09-09 탈중앙화 신원인증(DID)
4 오픈렛저 OPEN 71.30 B+ 2025-09-10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5 *리네아 LINEA 77.51 B+ 2025-09-11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6 *홀로월드에이아이 HOLO 69.18 B 2025-09-11 엔터테인먼트,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7 펌프펀 PUMP 81.61 A- 2025-09-11 밈,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소셜 / 탈중앙화조직
8 *아반티스 AVNT 68.28 B 2025-09-15 실물자산(RWA),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9 *바운드리스 ZKC 73.65 B+ 2025-09-15 레이어 3,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보안
10 *토시 TOSHI 66.64 B 2025-09-17 밈, 소셜 / 탈중앙화조직
11 플룸 PLUME 82.89 A- 2025-09-17 레이어 1, 실물자산(RWA)
12 오일러 EUL 68.48 B 2025-09-17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13 *롬바드 BARD 76.05 B+ 2025-09-18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14 스파크 SPK 74.53 B+ 2025-09-19 레이어 2, 금융 상품, 스테이킹
15 이니시아 INIT 75.61 B+ 2025-09-19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16 리졸브 RESOLV 60.85 B 2025-09-19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17 이더파이 ETHFI 81.68 A- 2025-09-19 스테이킹
18 *제로지 0G 73.95 B+ 2025-09-22 레이어 1,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19 *플루이드 FLUID 69.53 B 2025-09-24 대출, 금융 상품,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상호운용성 / 브릿지
20 인피니트 IN 67.00 B 2025-09-24 스테이킹,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21 비쓰리 B3 63.27 B 2025-09-24 레이어 3, 게임
22 *플라즈마 XPL 68.62 B 2025-09-25 레이어 1,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지급결제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23 *미라네트워크 MIRA 73.95 B+ 2025-09-26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오라클
24 *팔콘 파이낸스 FF 72.64 B+ 2025-09-29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25 *슈퍼버스 SUPER 72.18 B+ 2025-09-29 NFT, 게임
26 오덜리 ORDER 82.49 A- 2025-09-29 레이어 1, 금융 상품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요약 및 해석

  • • 2025년 9월, 업비트는 총 26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8월의 4건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로,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가 크게 확대된 모습입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3.34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명확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9월 중 업비트에서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9월 중 업비트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26개 가상자산 가운데 아반티스, 바운드리스, 토시 등 14개 가상자산은 국내 5대 거래소 중 업비트가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으며, 이는 전체의 54% 수준으로,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2) 빗썸
2025년 9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빗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9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빗썸)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월드리버티파이낸셜유에스디 USD1 76.91 B+ 2025-09-01 스테이블코인
2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WLFI 75.77 B+ 2025-09-01 대출, 금융 상품,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3 *오일러 EUL 68.12 B 2025-09-05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4 오픈렛저 OPEN 71.30 B+ 2025-09-10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5 *리네아 LINEA 77.51 B+ 2025-09-11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6 펌프펀 PUMP 81.61 A- 2025-09-11 밈,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소셜 / 탈중앙화조직
7 *아반티스 AVNT 68.28 B 2025-09-15 실물자산(RWA),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8 *바운드리스 ZKC 73.65 B+ 2025-09-15 레이어 3,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보안
9 *토시 TOSHI 66.64 B 2025-09-17 밈, 소셜 / 탈중앙화조직
10 홀로월드에이아이 HOLO 77.06 B+ 2025-09-17 엔터테인먼트,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11 *롬바드 BARD 76.05 B+ 2025-09-18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12 비트텐서 TAO 78.83 B+ 2025-09-19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13 *카미노 파이낸스 KMNO 79.29 B+ 2025-09-19 금융 상품, 스테이킹
14 *제로지 0G 73.95 B+ 2025-09-22 레이어 1,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15 *헤미 HEMI 82.51 A- 2025-09-24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16 팝캣 POPCAT 65.74 B 2025-09-25
17 비트레이어 BTR 77.37 B+ 2025-09-25 레이어 2,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18 *쿠디스 CUDIS 68.53 B 2025-09-26 인공지능(AI), 헬스케어
19 플루이드 FLUID 72.15 B+ 2025-09-26 대출, 금융 상품,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상호운용성 / 브릿지
20 *미라네트워크 MIRA 73.95 B+ 2025-09-26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오라클
21 *팔콘 파이낸스 FF 72.64 B+ 2025-09-29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22 플라즈마 XPL 68.62 B 2025-09-29 레이어 1,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지급결제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셀프 체인 SLF 69.12 B 2025-08-07 레이어 1, 보안
2 *믹스마블 MIX 55.53 B- 2025-08-18 메타버스, NFT, 게임
3 *라이파이낸스 SOFI 42.87 C- 2025-08-21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4 클레이스왑 KSP 38.35 D 2025-09-19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5 레이블 에이아이 LBL 49.74 C 2025-09-19 엔터테인먼트, 인공지능(AI)
6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셀프 체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0월 13일(월)
*믹스마블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0월 13일(월)
*라이파이낸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9월, 빗썸은 총 22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8월의 6건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로,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가 크게 확대된 모습입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3.93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명확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빗썸에서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9월 중 빗썸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22개 가상자산 가운데 오일러, 리네아, 아반티스 등 14개 가상자산은 국내 5대 거래소 중 빗썸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으며, 이는 전체의 64% 수준으로,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3) 코인원
2025년 9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코인원)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9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코인원)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WLFI 75.77 B+ 2025-09-02 대출, 금융 상품,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2 플록 FLOCK 74.59 B+ 2025-09-03 스테이킹, 소셜 / 탈중앙화조직, 인공지능(AI)
3 *사이드킥 K 70.64 B+ 2025-09-04 미디어 / 스티리밍, 소셜 / 탈중앙화조직
4 월드리버티파이낸셜유에스디 USD1 82.28 A- 2025-09-08 스테이블코인
5 *오픈렛저 OPEN 71.30 B+ 2025-09-09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6 *포털투비트코인 PTB 71.76 B+ 2025-09-10 상호운용성 / 브릿지
7 *이글스랜딩 EGL1 64.59 B 2025-09-11 레이어 3, 밈, 엔터테인먼트, 소셜 / 탈중앙화조직
8 바운드리스 ZKC 73.65 B+ 2025-09-16 레이어 3,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보안
9 *사로스 SAROS 67.75 B 2025-09-17 스테이킹,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10 *디피니티브 EDGE 58.33 B- 2025-09-18 스테이킹,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11 *로디드라이언즈 LION 57.36 B- 2025-09-18 NFT, 게임, 엔터테인먼트
12 롬바드 BARD 76.05 B+ 2025-09-19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13 아반티스 AVNT 73.18 B+ 2025-09-23 실물자산(RWA),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14 모포 MORPHO 72.15 B+ 2025-09-24 대출
15 *스테이크스톤 STO 70.18 B+ 2025-09-25 금융 상품, 스테이킹, 상호운용성 / 브릿지
16 리네아 LINEA 78.47 B+ 2025-09-26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17 *유에스디이 USDE 83.08 A- 2025-09-29 스테이블코인, 스테이킹
18 미라네트워크 MIRA 73.95 B+ 2025-09-29 레이어 1,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오라클
19 *아스터 ASTER 79.08 B+ 2025-09-30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셀프 체인 SLF 69.12 B 2025-08-07 레이어 1, 보안
2 *카이체인 KAI 57.79 B- 2025-08-18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3 *크립토나이트 SEILOR 46.46 C 2025-08-22 금융 상품, 스테이킹
4 *펜슬 프로토콜 DAPP 53.23 C+ 2025-08-22 대출,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5 스마트레이어 SLN 54.12 C+ 2025-09-03 레이어 3, 상호운용성 / 브릿지
6 얄라 YALA 68.59 B 2025-09-17 금융 상품, 스테이킹
7 리브라 파이낸스 LBR 40.25 C- 2025-09-19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8 클레이스왑 KSP 38.35 D 2025-09-19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9 레이블 에이아이 LBL 49.74 C 2025-09-19 엔터테인먼트, 인공지능(AI)
10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이더니티 체인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9월 22일(월)
*셀프 체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0월 13일(월)

*카이체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0월 13일(월)
*크립토나이트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0월 13일(월)
*펜슬 프로토콜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0월 13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9월, 코인원은 총 19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8월의 14건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이며, 여전히 많은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을 유지하는 기조를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2.32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명확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1건이었으며, 해당 가상자산의 평가 점수는 56.15점으로 ‘B-’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9월 중 코인원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9개 가상자산 가운데 사이드킥, 오픈렛져, 포털투비트코인 등 10개 가상자산은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으며, 이는 전체의 53% 수준으로,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4) 코빗
2025년 9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코빗)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9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코빗)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하이퍼리퀴드 HYPE 74.52 B+ 2025-09-03 레이어 1,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2 에테나 ENA 81.07 A- 2025-09-10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3 펌프펀 PUMP 84.80 A- 2025-09-19 밈,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소셜 / 탈중앙화조직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클레이스왑 KSP 38.35 D 2025-09-19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요약 및 해석

  • • 2025년 9월, 코빗은 총 3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8월의 1건 대비 상승 하였으나,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80.13점으로, 등급 기준 ‘A-’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신규 가상자산 지원 시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9월 중 코빗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3개 가상자산 가운데 하이퍼리퀴드는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빗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으며, 이는 전체의 33% 수준을 보였으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규모가 적기에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보기에 어렵습니다.
5) 고팍스
2025년 9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고팍스)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9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고팍스)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유엑스링크 UXLINK 76.72 B+ 2025-09-19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밀로 MILO 19.10 NR 2025-07-03 지급결제 인프라
2 아뮬렛 AMU 38.43 D 2025-09-17 금융 상품
3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비트에덴리치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9월 8일(월)
*슈퍼트러스트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9월 8일(월)

*틱트릭스 유의종목 해제: 2025년 9월 10일(수)
*에어 유의종목 해제: 2025년 9월 26일(금)

요약 및 해석

  • • 2025년 9월, 고팍스는 총 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8월의 0건 대비 상승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76.72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과거에 주로 낮은 점수의 신규 가상자산을 지원하던 모습과 달리, 새로운 형태의 거래지원 양상이 드러났음을 의미합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2건이었으며, 해당 가상자산의 평가 점수는 45.31점으로 ‘C’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9월 중 고팍스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1개 가상자산 가운데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가상자산은 없습니다.

3. 주요소식

ECB 총재, 외국 스테이블코인 규제 강화 촉구(관련 링크)

  • • 2025년 9월 3일,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크리스틴 라가르드는 EU 의회에 “외국 스테이블코인에도 동일한 규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유럽 내에서 활동할 때 규제 사각지대를 악용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한 발언입니다. 유럽 내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고, 자본 흐름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며, 향후 MiCA 법령 보완 논의의 핵심 이슈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베트남 정부, 암호화폐 거래 시범 프로그램 법제화(관련 링크)

  • • 2025년 9월 9일, 베트남 정부는 5년간 암호화폐 거래 시범 시장을 허용하는 법안을 공식 통과시켰습니다. 해당 법안은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제한적 허용, 최소 자본 요건, 외국 지분 제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베트남이 디지털 자산 산업을 제도권으로 흡수하려는 첫 번째 시도로 평가되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규제 경쟁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또한 현지 정부는 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인프라와 핀테크 생태계 육성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  

SEC·CFTC, 암호화폐 규제 일관성 논의를 위한 공동 회의 발표(관련 링크)

  • • 2025년 9월 2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9월 29일 공동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예측시장 플랫폼 등 업계 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며, 양 기관은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시장을 아우르는 규제 조율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특히 관할권 충돌과 감독 일관성 부족이 시장 안정성의 주요 리스크로 지적되어온 만큼, 이번 논의는 제도 정비에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  

유럽 9개 은행, 유로 기반 스테이블코인 공동 발행 추진(관련 링크)

  • • 2025년 9월 25일, ING·UniCredit·DekaBank 등 유럽 주요 은행 9곳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합작 법인을 설립하여 유로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2026년 하반기 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EU MiCA 규제 체제에 맞춘 첫 대형 은행 주도 프로젝트로, 전통 금융권이 직접 디지털 자산 발행 시장에 진입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움직임이 미국 달러 중심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유럽 금융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시도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  

4. 사건 사고

시바리움 브릿지 해킹 사고(관련 링크)

  • • 2025년 9월 12일, 시바리움(Shibarium) 브릿지에서 검증인(validator) 키 탈취와 관련된 해킹 공격이 발생하였습니다. 공격자는 악성 출금 증명을 제출하여 약 240만 달러 상당의 자산을 무단으로 인출했습니다. 개발팀은 즉시 브릿지 운영을 중단하고, 460만 BONE 토큰을 동결하는 등 긴급 보안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브릿지 인프라의 보안 취약성을 다시 부각시켰습니다.
  •  

UXLINK 토큰 무단 발행 사고(관련 링크)

  • • 2025년 9월 22일, Web3 플랫폼 UXLINK에서 보안 침해로 인해 20억 개 이상의 토큰이 무단 발행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 가치는 약 7천만 달러 이상 하락했고, 주요 거래소들이 일시적으로 UXLINK 거래를 중단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토큰 발행 메커니즘의 구조적 취약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커뮤니티의 신뢰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  

크립토닷컴, 고객정보 유출 은폐 의혹에 대해 공식 부인(관련 링크)

  • • 2025년 9월 22일,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은 과거 발생한 고객정보 유출 사건을 은폐했다는 의혹을 정면으로 부인했습니다. 해킹 그룹 ‘스캐터드 스파이더’가 직원 계정을 통해 일부 데이터에 접근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크립토닷컴은 시스템 전체 침해나 고객 자산 피해는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사는 해당 사실을 즉시 미국 규제 당국에 보고했으며, 영향 범위가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거래소의 보안 사고 대응 투명성과 이용자 신뢰 회복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었습니다.
  •  

하이퍼드라이브 프로토콜 취약점 공격(관련 링크)

  • • 2025년 9월 27일, 디파이 프로젝트 하이퍼드라이브(Hyperdrive)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이 악용되어 약 7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이 탈취되었습니다. 프로젝트 팀은 신속하게 보안 패치를 적용하고, 피해자들에게 전액 보상을 약속했습니다. 해당 사건은 신규 프로토콜이 충분한 보안 감사를 거치지 못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보여주었습니다.
  •  
 
마치며... APYWA의 정기 평가에 대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평가 정보를 요약하여 담아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