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보고서

  • HOME
  • 분석보고서
[AR-25-035]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2025년 10월 가상자산 평가 분석보고서
본 보고서는 2025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1개월간 5대 거래소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을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종합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1) 업비트
2) 빗썸
3) 코인원
4) 코빗
5) 고팍스
3. 주요 소식
4. 사건 사고

1. 종합 현황

개요
  • • AR-25-035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2025년 10월 1일부터 2025년 10월 31일까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며,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은 37개(중복 제외 시 16개), 거래지원 종료 가상자산은 7개(중복 제외 시 6개)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거래 지원된 전체 가상자산 수는 614개로 전체 평균 평가점수는 66점이며, 평가 완료 가상자산의 전체 평균 평가등급은 B등급입니다.
  • • 전체 평가 완료 가상자산 중 양호(B그룹 이상) 가상자산은 499개(81.3%)이고, 주의(B그룹 미만) 가상자산은 115개(18.7%)입니다.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APYWA 자동화 평가 완료 현황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2025년 10월 전체 등급별 가상자산 수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025년 10월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카테고리 / 생태계 현황

2. 국내 5대 거래소별 분석

개요
  • •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다양한 가상자산을 지원하는 거래소는 빗썸(438개)이며, 가상자산 평균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거래소는 코빗(73점)입니다.
  • • 국내 5대 거래소에 유의종목으로 지정 중인 가상자산 수(중복 제외)는 총 10개이며, 코인원, 고팍스가(5개)가 가장 많은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이 있고,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의 평균 평가점수는 41점입니다.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2025년 10월 국내 5대 거래소 현황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2025년 10월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현황
1) 업비트
2025년 10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업비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10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업비트)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솜니아 SOMI 81.31 A- 2025-10-01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2 *더블제로 2Z 73.69 B+ 2025-10-02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3 두들즈 DOOD 73.41 B+ 2025-10-07 NFT, 미디어 /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4 *제로베이스 ZBT 67.85 B 2025-10-17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5 조라 ZORA 81.14 A- 2025-10-17 밈, NFT
6 바이오프로토콜 BIO 73.67 B+ 2025-10-20 레이어 3, 소셜 / 탈중앙화조직, 크라우드펀딩, 데이터 인프라, 헬스 케어
7 신퓨처스 F 75.25 B+ 2025-10-21 금융 상품,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8 *클리어풀 CPOOL 69.55 B 2025-10-22 대출,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9 *엔소 ENSO 80.29 A- 2025-10-29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바운드리스 유의 종목 지정: 2025년 10월 2일(목)
*바운드리스 유의 종목 해제: 2025년 10월 17일(금)
*유엑스링크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3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10월, 업비트는 총 9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9월의 26건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나,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일정 수준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5.13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10월 중 업비트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9개 가상자산 가운데 솜니아, 더블제로, 제로베이스 등 5개 가상자산은 국내 5대 거래소 중 업비트가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56%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2) 빗썸
2025년 10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빗썸)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10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빗썸)

신규 거래 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솜니아 SOMI 81.31 A- 2025-10-01 레이어 1, 상호운용성 / 브릿지
2 슈퍼버스 SUPER 75.57 B+ 2025-10-02 NFT, 게임
3 *더블제로 2Z 73.69 B+ 2025-10-02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4 *아노마 XAN 80.38 A- 2025-10-07 레이어 0, 상호운용성 / 브릿지
5 아스터 ASTER 79.24 B+ 2025-10-10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6 *제로베이스 ZBT 67.85 B 2025-10-17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7 인피닛 IN 70.44 B+ 2025-10-17 스테이킹, 데이터 인프라, 인공지능(AI), 상호운용성 / 브릿지
8 두들즈 DOOD 73.80 B+ 2025-10-17 NFT, 미디어 /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9 일드베이시스 YB 56.22 B- 2025-10-17 금융 상품, 스테이킹
10 조라 ZORA 80.87 A- 2025-10-21 밈, NFT
11 *리콜 RECALL 80.92 A- 2025-10-21 인공지능(AI)
12 *클리어풀 CPOOL 69.55 B 2025-10-22 대출,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13 *엔소 ENSO 80.29 A- 2025-10-29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클레이스왑 KSP 38.35 D 2025-09-19 탈중앙화 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2 *레이블 에이아이 LBL 49.74 C 2025-09-19 엔터테인먼트, 인공지능(AI)
3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바운드리스 유의 종목 지정: 2025년 10월 2일(목)
*셀프 체인 거래지원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믹스마블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라이파이낸스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바운드리스 유의 종목 해제: 2025년 10월 17일(금)
*유엑스링크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3일(월)
*클레이스왑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7일(월)
*레이블 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7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10월, 빗썸은 총 13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9월의 22건 대비 크게 감소 하였으나, 기존 국내 5대 거래소 중 가장 많은 신규 자산을 꾸준히 지원하던 코인원을 제치고, 빗썸이 10월 가장 많은 신규 자산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74.63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3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51.87점으로 ‘C+'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10월 중 빗썸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3개 가상자산 가운데 아노마, 리콜, 클리어풀 등 7개 가상자산은 국내 5대 거래소 중 빗썸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54%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3) 코인원
2025년 10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코인원)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10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코인원)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오픈에덴 EDEN 72.61 B+ 2025-10-01 실물자산(RWA),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2 *에이프앤페페 APEPE 61.05 B 2025-10-02 레이어 3, 밈, 엔터테인먼트, 소셜 / 탈중앙화조직
3 더블제로 2Z 73.69 B+ 2025-10-03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4 *케이젠 KGEN 76.91 B+ 2025-10-09 인공지능(AI), 탈중앙화 신원인증(DID)
5 리도다오 LDO 83.12 A- 2025-10-15 스테이킹
6 *신디케이트 SYND 51.97 C+ 2025-10-16 레이어 2, 상호운용성 / 브릿지
7 *일드베이시스 YB 56.22 B- 2025-10-16 금융 상품, 스테이킹
8 *테더 골드 XAUT 61.60 B 2025-10-21 실물자산(RWA)
9 *레이어쓰리 L3 70.36 B+ 2025-10-22 NFT, 데이터 인프라
10 *메테오라 MET 80.60 A- 2025-10-24 스테이킹,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11 일드길드게임즈 YGG 72.20 B+ 2025-10-29 메타버스, NFT, 게임
12 *렉트 REKT 55.17 B- 2025-10-30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스마트레이어 SLN 54.12 C+ 2025-09-03 레이어 3, 상호운용성 / 브릿지
2 *리브라 파이낸스 LBR 40.25 C- 2025-09-19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
3 *클레이스왑 KSP 38.35 D 2025-09-19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4 *레이블 에이아이 LBL 49.74 C 2025-09-19 엔터테인먼트, 인공지능(AI)
5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바운드리스 유의 종목 지정: 2025년 10월 2일(목)
*크립토나이트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펜슬 프로토콜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셀프 체인(프론트) 거래지원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카이체인 거래지원 종료 완료: 2025년 10월 13일(월)
*얄라 유의 종목 해제: 2025년 10월 15일(수)
*바운드리스 유의 종목 해제: 2025년 10월 17일(금)
*유엑스링크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3일(월)
*스마트 레이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4일(금)
*리브라 파이낸스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7일(월)
*클레이스왑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7일(월)
*레이블 에이아이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7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10월, 코인원은 총 12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9월의 19건 대비 감소한 수치이며,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일정 수준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67.96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가상자산은 총 4건이었으며, 해당 자산들의 평균 평가는 49.43점으로 ‘C’ 등급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종료된 자산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시사하였습니다.
  • • 10월 중 코인원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12개 가상자산 가운데 에이프앤페페, 케이젠, 테더 골드 등 9개 가상자산은 국내 5대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에 해당하였습니다. 이는 전체의 75% 수준으로,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 주도권 확보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습니다.
4) 코빗
2025년 10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코빗)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10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코빗)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카미노 파이낸스 KMNO 70.82 B+ 2025-10-22 금융 상품, 스테이킹
2 도그위프햇 WIF 74.56 B+ 2025-10-27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클레이스왑 KSP 38.35 D 2025-09-19 탈중앙화거래소 / 애그리게이터
2 카데나 KDA 67.50 B 2025-10-22 레이어 1, 금융 상품
*클레이스왑 거래지원 종료 예정일: 2025년 11월 17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10월, 코빗은 총 2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9월의 3건 대비 감소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72.69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10월 중 코빗이 거래지원을 개시한 2개 가상자산 가운데 코빗이 국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은 없었습니다.
5) 고팍스
2025년 10월 거래지원 가상자산 현황(고팍스)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

2025년 10월 등급별 가상자산 현황(고팍스)

신규 거래지원 가상자산

※ 평가 점수 기준일: 신규 거래지원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신규 거래지원 일자 카테고리
1 SOON 75.37 B+ 2025-10-24 레이어 2, 데이터 인프라, 상호운용성 / 브릿지

※ 별표(*)는 해당 가상자산이 국내 5대 거래소 중 최초로 해당 거래소에서 지원된 신규 거래지원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유의종목 지정 가상자산 상세 현황

※ 평가 점수 기준일: 유의종목 지정 시점

#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평가등급 유의종목 지정일자 카테고리
1 밀로 MILO 19.10 NR 2025-07-03 지급결제 인프라
2 아뮬렛 AMU 38.43 D 2025-09-17 금융 상품
3 *유엑스링크 UXLINK 69.97 B 2025-09-23 소셜 / 탈중앙화조직, 데이터 인프라
4 어드밴스드프로젝트 AUC 35.67 D 2025-10-01 지급결제 인프라
5 센터코인 CENT 25.72 D- 2025-10-01 NFT, 게임

*유엑스링크 거래지원 종료예정일: 2025년 11월 3일(월)

 

요약 및 해석

  • • 2025년 10월, 고팍스는 총 1개의 가상자산에 대해 거래지원을 개시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인 9월의 1건 대비 동일한 수치로, 여전히 신규 자산에 대한 거래지원 규모는 제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 • 해당 기간 거래지원을 개시한 자산의 평균 평가는 75.37점으로, 등급 기준 ‘B+’에 해당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심사 및 검토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 같은 기간 동안 거래지원이 종료된 자산은 없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거래지원 유지율은 100%를 기록하였습니다.
  • • 10월 중 고팍스가 거래지원을 개시한 1개 가상자산 가운데 고팍스가 국내 최초로 거래지원을 시작한 자산은 없었습니다.

3. 주요소식

미국 SEC, ‘혁신 면제 규정’ 공식 추진(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디지털 자산 기업이 혁신적인 금융 상품을 보다 유연하게 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 면제(Innovation Exemption)’ 규정을 공식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규제 중심의 기존 기조에서 ‘혁신 지원형 제도’로 방향을 전환하는 첫 시도로 평가됩니다. 폴 애트킨스 위원장은 “명확한 규제 틀 안에서 혁신이 가능해야 시장이 성장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프랑스 중앙은행, EU 암호화폐 감독권 ESMA로 이관 촉구(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9일,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 프랑수아 빌루아 드 갈로는 유럽 내 가상자산 감독 권한을 유럽증권시장감독청(ESMA)으로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회원국별 편차로 인한 ‘규제 차익’을 지적하며, 스테이블코인 등 주요 자산에 대해 EU 차원의 직접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제안은 MiCA(가상자산시장규제) 시행 이후 유럽 통합 규제 체계 강화 논의를 가속화시켰습니다.
  •  

한국 금융위, 스테이블코인 이자 지급 금지 검토(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20일, 금융위원회는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에 대한 이자 지급 금지 및 거래소 자체 발행 제한을 포함한 규제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이 투자형 상품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고,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금융위는 연내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며, 업계는 국내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의 본격화를 의미하는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
  •  

일본 FSA, 은행 자회사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허용 검토(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21일, 일본 금융청(FSA)은 은행 그룹 산하 자회사가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일본 내 은행 자회사는 암호자산서비스업 등록이 불가능하지만, 규제 개정이 완료되면 전통 금융권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이는 은행권이 암호화폐 산업 내 유동성 공급자로서 역할을 확대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4. 사건 사고

BNB Chain 공식 X 계정 탈취 및 가짜 ‘$4’ 토큰 사기(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1일, BNB Chain(바이낸스 연계 블록체인)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이 해킹되어, “공식 토큰 메미코인 $4 출시”라는 허위 게시물이 게시되었습니다. 공격자는 해당 게시물에 사용자를 유인하는 링크를 삽입했고, 피해 규모는 약 3천 만 달러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사건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공식 채널이 공격당했을 때 얼마나 빠르게 사기 홍보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며, SNS 채널 관리 및 인증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부각시켰습니다.
  •  

Abracadabra 프로토콜 스마트컨트랙트 익스플로잇(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6일,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Abracadabra는 스마트컨트랙트의 논리적 결함을 이용당해 약 1.79 백만 달러(MIM 토큰 기준) 규모의 자금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공격자는 “cook” 함수 내 else 블록을 악용해 담보 및 유동성 규제를 우회했고, 이후 프로젝트 측은 피해 보전을 위해 시장에서 MIM을 시장매입하는 등의 대응에 나섰습니다. 본 사건은 디파이 프로토콜 설계 단계에서의 ‘상태변경 검증(solvency check)’ 등 내재 리스크가 아직 충분히 제거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  

Paxos – PayPal 파트너 스테이블코인 과다발행 오류(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16일, PayPal의 블록체인 파트너 Paxos가 내부 전송 과정 중 기술적 오류로 약 300 조 달러(추정) 가치 상당의 PYUSD 스테이블코인을 일시적으로 과다 발행한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고객 자산 피해는 없었으며, Paxos는 즉시 잉여 토큰을 소각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 사건은 스테이블코인 발행·관리 시스템의 통제 가능성 및 내부사고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함을 다시 한 번 보여줬습니다.
  •  

AI 딥페이크 기반 유튜브 가짜 GTC 기조연설 통한 암호화폐 사기(관련 링크)

  • • 2025년 10월 28일, 글로벌 GPU 업체인 NVIDIA의 GTC 키노트 발표를 가장한 가짜 유튜브 라이브 스트림이 약 10 만명 이상 시청된 뒤, “암호화폐 대량 배포 이벤트”라는 허위 QR코드를 통해 투자금 탈취 시도가 포착됐습니다. 영상은 AI 딥페이크로 제작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본 사건은 암호화폐 사기에 AI 악용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  
 
마치며... APYWA의 정기 평가에 대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평가 정보를 요약하여 담아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