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보고서

  • HOME
  • 분석보고서
[AR-25-017]트럼프 집권 전후, 미국산 가상자산 성과 분석 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본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과 함께 부각된 친(親)암호화폐 규제 완화 기조가 실제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 1. 보고서 개요
  • 2. 트럼프 집권 전후 비트코인 가격 흐름
  • 3. 미국산 가상자산의 상대적 가격 성과 분석
  • 4. 종합 인사이트

1. 보고서 개요

분석 목적 및 배경
  • • 본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과 함께 부각된 친(親)암호화폐 규제 완화 기조가 실제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대감이 미국산 가상자산의 가격 퍼포먼스에 실질적으로 반영되었는지를 검토하고자, 트럼프 집권 전후를 기준으로 미국산 가상자산과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 간의 가격 흐름을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 • 이를 통해 정책 방향성과 시장 반응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미국산 가상자산이 향후 가상자산 시장에서 전략적 우위를 가질 수 있을지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트럼프 트레이드의 구조 변화와 미국산 가상자산의 부상
  •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은 전통적인 ‘트럼프 트레이드(Trump Trade)’ 개념을 다시 시장의 핵심 변수로 부상시켰습니다.
  • • 다만, 2025년 현재의 시장 환경은 과거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 1기 집권기의 트럼프 트레이드는 감세, 규제 완화,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 기대 속에, 주식·채권·원자재 등 전통 자산과 리스크 자산 전반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 반면, 2025년의 트럼프 트레이드는 고율 관세에 기반한 보호무역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이는 공급망 불안과 수입물가 상승을 유발해 인플레이션 재자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여지는 줄어들고, 금융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 기대라는 별도 모멘텀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SEC에 비판적 입장을 지속적으로 표명해 왔으며, 재선 이후 규제기관 권한 조정, 친 암호화폐 성향 인사 기용 등 정책 기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또한, 본인의 밈코인 발행, 로스 울브리히트(실크로드 창립자) 석방 관련 내용 등은 정치적 상징성을 통해 시장과의 직접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 이러한 흐름을 감안할 때, 가상자산의 상승 모멘텀 역시 트럼프 트레이드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이는 금리·성장 중심의 전통적 매크로 트레이드와는 구별되는, 정책적 우호성과 규제 완화 기대에 기반한 비정통적 트럼프 트레이드라 볼 수 있습니다.
  • • 결과적으로 2025년 트럼프 트레이드는 가상자산을 새로운 정책 수혜 영역으로 포함시키며, 미국산 가상자산에 대한 시장의 주목도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2. 트럼프 집권 전후 비트코인 가격 흐름

트럼프 관련 주요 이벤트와 비트코인 가격 타임라인

1) 2024년
  • 9월: 미 연준의 50bp 금리 인하(9월 18일) 조치로 글로벌 시장의 유동성이 개선되면서 비트코인은 완만한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친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상승을 더욱 견인했습니다.
  • 10월: 친 암호화폐 정책을 예고한 트럼프 후보의 재선 가능성이 본격화되면서, 시장의 상승 모멘텀이 강력히 형성되었습니다. 특히 비트코인 현물 ETF를 중심으로 한 기관 투자자 자금 유입이 증가하며 비트코인 가격은 글로벌 기준 $70,000 ~$75,000 구간으로 올라섰습니다.
  •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한국시간 11월 6일)되면서 정책 친화성에 대한 기대와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ETF 중심의 공격적인 자금 유입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비트코인은 글로벌 기준 약 $109,500라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였으나, 이는 단기적 시장 과열로 이어졌습니다.
  • 12월: 연말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움직임과 유동성 감소로 인해 시장은 단기적인 조정을 경험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고용 지표 악화와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 정책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가 시장 불안을 가중시켰습니다.
2) 2025년
  • 1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취임(1월 20일) 이후 발표될 경제 부양 및 비축 정책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비트코인 가격을 다시 글로벌 기준 $95,000~$100,000까지 반등시켰습니다. 그러나 정책의 세부사항이 불투명하여 상승은 제한적이었으며, 추가적인 동력이 부족했습니다.
  • 2월: 기관 자금의 유입은 지속됐지만, 2월 21일 발생한 바이비트(Bybit) 거래소의 대규모 해킹 사건으로 투자자 신뢰가 타격을 입었습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관세 정책 발표가 글로벌 금융 시장 전반에 불안감을 확대시켰고, 비트코인 가격은 2월 24일부터 급격히 하락하여 글로벌 기준 $80,000~$85,000선으로 떨어졌습니다.
  • 3월: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각시키고, 주식 시장의 동반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투자 심리는 급격히 위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며 단기적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3. 미국산 가상자산의 상대적 가격 성과 분석

데이터 수집 기준 및 구분 방법
1) 분석 대상 가상자산
  • 미국산 가상자산: CoinMarketCap 기준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 중 CoinMarketCap, CoinGecko, CryptoRank의 카테고리 정보와 본사 소재지 및 주요 인력의 국적·위치 등 APYWA 자체 기준을 종합하여 30종의 가상자산을 선정하였습니다.
  •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 CoinMarketCap 기준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 중, 비트코인과 미국산 가상자산을 제외한 30종의 가상자산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습니다.
2) 가격 분석 기준
  • • 2024년 9월 2일 ~ 2025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1주일 간격의 종가를 기준으로 가격 추이를 비교 · 분석 하였습니다.

미국산 가상자산 리스트

구분 가상자산 이름 티커 평가점수 등급 한국 거래지원 여부 주요 카테고리
1 호라이즌 ZEN - - X 레이어1
2 라이트코인 LTC - - X 지급결제 인프라
3 지캐시 ZEC - - X 지급결제 인프라
4 *엑스알피 XRP 91.01 A+ O 지급 결제 인프라
5 아발란체 AVAX 89.43 A O 레이어1
6 도지코인 DOGE 88.87 A O
7 솔라나 SOL 88.72 A O 레이어1
8 앱토스 APT 88.31 A O 레이어1
9 수이 SUI 87.71 A O 레이어1
10 *체인링크 LINK 87.46 A O 오라클
11 에이다 ADA 86.38 A O 레이어1
12 스텔라루멘 XLM 86.33 A O 지급결제인프라
13 옵티미즘 OP 85.99 A O 레이어2
14 유니스왑 UNI 85.33 A O 탈중앙화거래소/애그리게이터
15 니어프로토콜 NEAR 85.11 A O 레이어1
16 파일코인 FIL 82.16 A- O 스토리지
17 알고랜드 ALGO 81.67 A- O 레이어1
18 헤데라 HBAR 81.55 A- O 레이어1
19 베이직어텐션토큰 BAT 81.09 A- O 미디어/스트리밍
20 테조스 XTZ 80.76 A- O 레이어1
21 스택스 STX 79.3 B+ O 레이어1
22 더그래프 GRT 76.76 B+ O 데이터인프라
23 에이프코인 APE 76.12 B+ O NFT
24 렌더토큰 RENDER 75.96 B+ O 인공지능(AI)
25 미나 MINA 75.23 B+ O 레이어1
26 헬륨 HNT 73.22 B+ O 사물인터넷(IoT)
27 인젝티브 INJ 72.92 B+ O 탈중앙화거래소/애그리게이터
28 온도파이낸스 ONDO 72.84 B+ O 실물자산(RWA)
29 라이브피어 LPT 69.16 B O 미디어/스트리밍
30 블러 BLUR 64.73 B O NFT
  • • 가상자산 평가 점수는 2025년 3월 31일 진행된 [AW-0043-정기]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엑스알피와 *체인링크는 2025년 3월 7일, 트럼프 대통령 주재 하에 백악관에서 진행한 ‘디지털 자산 서밋(Digital Assets Summit)’에 참여한 인원이 대표로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산 vs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 가격 흐름

  • •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확정된 11월 6일을 기점으로, 미국산 가상자산(30종)의 평균 가격 상승률은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30종) 대비 약 10~90%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 당선 확정 전까지는 양 자산군 모두 유사한 수준의 가격 변동률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미국산 프로젝트에 대한 정책 수혜 기대감이 선반영되며 상승폭의 격차가 점차 확대되었고, 이러한 가격 간극은 장기간 지속되는 흐름을 나타내다가 점차 좁혀졌습니다.

가격 성과 편차가 두드러진 상위·하위 가상자산 비교

백악관 디지털 자산 서밋과 관련 가상자산
  • • 2025년 3월 7일, 트럼프 대통령 주재 하에 백악관에서 ‘디지털 자산 서밋(Digital Assets Summit)’이 개최되었습니다. 해당 서밋은 미국의 암호화폐 산업 육성과 민간 협력 확대를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블록체인 기업 및 Web3 프로젝트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 해당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상자산 규제 완화와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Strategic Bitcoin Reserve) 등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습니다.

서밋에 참석한 가상자산 프로젝트 리더와 해당 자산

인물 소속 관련 가상자산 핵심 발언 요약
Brad Garlinghouse Ripple CEO 리플(XRP) XRP를 美 전략 디지털 자산 비축에 포함 제안, 결제 인프라 내 활용 강조
Sergey Nazarov Chainlink Co-founder 체인링크(LINK) 실물 자산 토큰화(RWA)와 규제 준수 자동화를 통한 미국 주도권 강화 필요 강조

리플과 체인링크의 가격 변동 추이

  • • 백악관 서밋에 참석한 XRP와 Chainlink의 대표들은 각 프로젝트의 정책적 역할과 시장 내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실제 가격 흐름은 자산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 • 서밋 이후 LINK는 미국산 및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과 유사한 수준의 변동률을 기록한 반면, XRP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XRP의 가격 상승은 서밋 효과보다는 'SEC와의 장기적인 법적 분쟁 종료'라는 프로젝트 고유의 이벤트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특히 3월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발표로 인해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유동성이 감소한 시기로, 주요 가상자산 관련 정책 기대감보다는 거시경제 변수의 여향력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4. 종합 인사이트

미국산 가상자산의 정책 기대, 그 이면의 시장 반응

  • •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확정 직후, 가상자산 시장은 정책 기대 심리에 힘입어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보였습니다.
  • • 특히 미국산 가상자산(30종)은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30종)보다 높은 평균 상승률을 보이며, 미국 내 규제 완화, 제도권 편입 기대감 등을 선제적으로 반영한 모습이 두드러졌습니다.
  • • 하지만 2025년 3월 이후 발표된 고율 관세 정책 등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정책 기조는 오히려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키며 상승세를 제약했고, 이 과정에서 미국산 가상자산도 시가총액 상위 가상자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조정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 • 가상자산 정책 수혜 기대감은 단기 모멘텀을 형성했으나, 실제 실행된 정책들은 일부 기대와는 괴리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기대를 모았던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정책은 정부의 신규 매입이 아닌 압류된 비트코인을 단순 보유하겠다는 수준에 머무르며 적극적인 정책 실행이라는 인식과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또한, CBDC 전면 금지, 알트코인 포함 비축 논란 등 정책 신호가 혼재되면서 시장은 오히려 혼란을 겪었고, 초기의 강한 기대는 점차 식어가는 흐름으로 이어졌습니다.
  • • 결과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는 미국 가상자산 시장에 일방적인 호재로 작용하기보다는 정책의 방향성과 구체적 내용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모두 유발할 수 있는 복합 변수로 기능했습니다. 정책 수혜는 단기 가격을 견인하는 결정적 요소라기보다는 중장기적인 시장 구조와 신뢰 형성 속에서 점진적으로 반영되는 특성을 지닌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규제 기조가 가상자산 시장을 재정의하는 방식

  • • 미국 정부의 가상자산 정책은 단순히 자국 프로젝트에 대한 규제 수혜를 넘어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기준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한 디지털 자산 전략 비축, SEC 규제 권한 조정, 실물 자산 토큰화와 같은 정책 기조는 단기적 정책 이슈를 넘어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내 정책 프레임의 재편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 • 이러한 흐름 속에서 미국산 프로젝트는 자국 내 정책 수혜는 물론 글로벌 상장 지속성, 제도권 편입, 투자자 접근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구조적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 외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이 직면한 규제 불확실성과 명확히 대비되는 경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 결국, 미국의 가상자산 정책은 미국산 가상자산 프로젝트의 성장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내부 요인인 동시에 글로벌 시장의 규제 방향성과 투자 환경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외부 변수로 기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리더십이 다른 국가들의 규제 체계 정비와 제도화 흐름으로 이어질 경우 가상자산 시장 전반은 보다 안정적인 환경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치며... 트럼프 집권 전후, 미국산 가상자산 성과 분석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전후로 한 시기를 중심으로,
미국산 가상자산의 가격 흐름과 시장 반응을 정리하고 비교해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정책 기대와 실제 시장 퍼포먼스 간의 차이, 그리고 규제 환경 속 미국산 프로젝트의 위치 등을
살펴보며, 시장의 구조적 흐름에 대해 간단히 짚어보고자 했습니다.

본 보고서가 향후 관련 이슈를 판단하거나,
미국산 가상자산을 바라보는 관점을 정리하는 데 간략한 인사이트가 되기를 바랍니다.

APYWA는 다양한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소중히 여기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보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의 사항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는 투자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오직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 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작성된 내용과 실제 데이터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애피랩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평가 분석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식재산권은 회사 또는 회사와 계약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변경, 복제, 배포, 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령에 의하여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